GNS3의 일반적인 설정을 살펴 봅니다.

개인적으로 사용하는 부분만 참고 형식으로 작성합니다.


1. GNS3 실행

GNS3를 실행하는 순간 사진 우측에 살짝 걸쳐 있는 VMware가 실행되어 GNS3 VM이 구동이 자동으로 됨니다.

2.0 버전 부터는 Project를 무조건 생성하여 저장해서 장비의 구성이 가능하게 변경되었습니다.

폴더 경로와 이름이 확인하여 프로젝트를 생성 합니다.



2. GNS3 의 설정을 한번 확인하여 봅시다. [단축키 : command + , ]




3. 설정 초기 화면

위 사진에서는 프로젝트와 심볼 config관련 폴더 경로를 확인 가능하며 변경 가능합니다.

네트워크 장비 콘솔 접속시 연동 프로그램 설정을 위해 상단의 Consolw application를 클릭 합니다.



4. Console APP 설정

위 사진처럼 기본 설정은 터미널이 이용해서 접속 하는 듯 합니다.

저는 Secure CRT를 사용하기 때문에 Edit를 눌러서 Secure CRT를 지정하여 사용 합니다.





상단 메뉴에서 VNC를 선택하여 VNC 접속 App 도 선택 합니다. (HP 의 VSR-1000 장비 연동시 VNC 콘솔로 접속)

VNC 콘솔의 기본 설정 입니다.  저는 무료 App 인 Chicken 을 사용하여 접속 합니다.


Chicken은 다음 주소에서 무료 download 가능 합니다.

https://sourceforge.net/projects/chicken/


설치 후 Chicken으로 GNS3 상에서 잡아주면 설지된 앱내 실행 경로가 조금 다르기 때문에 다음과 같이 설정 합니다.

Chicken of the VNC를 선택 한 후 아래 경로로 수정하여 커스톰 하여 저장하여 사용 합니다.


/Applications/Chicken.app/Contents/MacOS/Chicken %h:%p



일단 이렇게 장비 연결시 사용할 터미널 접속 App만 설정 하면 이미지 생성하여 연동시 편리 합니다.

네트워크 패킷 캡쳐시 wireshark를 설치하면 편리합니다.

Posted by 민스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