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NS3의 일반적인 설정을 살펴 봅니다.

개인적으로 사용하는 부분만 참고 형식으로 작성합니다.


1. GNS3 실행

GNS3를 실행하는 순간 사진 우측에 살짝 걸쳐 있는 VMware가 실행되어 GNS3 VM이 구동이 자동으로 됨니다.

2.0 버전 부터는 Project를 무조건 생성하여 저장해서 장비의 구성이 가능하게 변경되었습니다.

폴더 경로와 이름이 확인하여 프로젝트를 생성 합니다.



2. GNS3 의 설정을 한번 확인하여 봅시다. [단축키 : command + , ]




3. 설정 초기 화면

위 사진에서는 프로젝트와 심볼 config관련 폴더 경로를 확인 가능하며 변경 가능합니다.

네트워크 장비 콘솔 접속시 연동 프로그램 설정을 위해 상단의 Consolw application를 클릭 합니다.



4. Console APP 설정

위 사진처럼 기본 설정은 터미널이 이용해서 접속 하는 듯 합니다.

저는 Secure CRT를 사용하기 때문에 Edit를 눌러서 Secure CRT를 지정하여 사용 합니다.





상단 메뉴에서 VNC를 선택하여 VNC 접속 App 도 선택 합니다. (HP 의 VSR-1000 장비 연동시 VNC 콘솔로 접속)

VNC 콘솔의 기본 설정 입니다.  저는 무료 App 인 Chicken 을 사용하여 접속 합니다.


Chicken은 다음 주소에서 무료 download 가능 합니다.

https://sourceforge.net/projects/chicken/


설치 후 Chicken으로 GNS3 상에서 잡아주면 설지된 앱내 실행 경로가 조금 다르기 때문에 다음과 같이 설정 합니다.

Chicken of the VNC를 선택 한 후 아래 경로로 수정하여 커스톰 하여 저장하여 사용 합니다.


/Applications/Chicken.app/Contents/MacOS/Chicken %h:%p



일단 이렇게 장비 연결시 사용할 터미널 접속 App만 설정 하면 이미지 생성하여 연동시 편리 합니다.

네트워크 패킷 캡쳐시 wireshark를 설치하면 편리합니다.

Posted by 민스톨
,

macOS에 GNS3 도 설치 하였고, VMware Fusion 을 통하여 GNS3 VM도 구동확인 되었으니,

이제 GNS3 에서 장비의 image를 GNS3 VM에서 구동할수 있게  GNS 3 와 GNS 3 VM을 설정 합니다.


1. 우선 GNS3 를 실행하여 처음 설치시 Setup Wizard를 다시 안본다고 하였으니, 메뉴에서 Setup Wizard 진입합니다.




2. Next를 눌러주며 설정 까지 넘어 갑니다.

저의 경우 GNS3 2.0 을 지우고 다시 설치 하는 과정에서 Local Server 설정시 위 스샷에서

127.0.0.1 의 3080 포트가 사용중이라면서 Local Server가 구동되지 않는 현상이 나타났었습니다.

맥북의 활성상태보기 를 사용하여 사용중인 Local server 프로세스를 강제종료 하여 다시 GNS3를 실행하니

Local Server가 정상적으로 동작 했습니다. 오류코드가 PID 1316에서 사용중이라고 나와서

활성상태보기에서 PID를 정렬하여 1316를 제거하였으니 혹시 동일 문제가 발생된다면 참고 하세요




3. GNS3 VM을 어떤 가상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구동할지 설정단계에 왔습니다.

저는 VMware를 사용하여 구동하므로 VMware를 선택 후 VMware에서 설정한 동일한 CPU core , Memory로 설정하여 진행 했습니다.




4. Next를 클릭하여 설정을 완료 합니다.

GNS3 VM이 어떻게 구동되는지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Finish를 클릭하면 설정은 완료 됨니다.




5. 정상적으로 설정이 완료 되었다면 GNS3를 실행 시 VMware에서 GNS.3 VM이 구동되며

   GNS3를 종료 할때에도 VMware 에서 GNS 3 VM이 종료 되내요. 1.x.x 버전에서는 안되 었었는대 편합니다.

  이렇게 GNS3 와 GNS3 VM을 구동하는 것은 간단하게 끝났습니다.

'macOS > GNS3' 카테고리의 다른 글

[GNS3] 7. macOS GNS3 IOU 연동  (0) 2017.05.29
[GNS3] 6. macOS GNS3 일반설정  (0) 2017.05.26
[GNS3] 4. macOS GNS3 설치 - VMware Fusion  (0) 2017.05.26
[GNS3] 3. macOS GNS3 설치  (0) 2017.05.25
[GNS3] 2. macOS 기존 설치된 GNS3 의 삭제  (0) 2017.05.25
Posted by 민스톨
,

일단 macOS 상에 GNS3는 설치를 하였으니,

GNS3 VM을 VMware Fusion 에 올려봅니다.


1. Finder 에서 GNS3 VM.ova 을 VMware Fusion 에서 열어 봅니다.




2. Continue를 클릭하여 넘어 갑니다.

제 맥북에 부트캠프로 윈도우가 설치되어 있어서 Boot Camp 를 선택하는 부분도 보이내요




3. GNS3 VM.ova 파일을 압축(?)을 해재할 경로를 지정 합니다.

저는 동일 경로에 저장 합니다.




4. VMware Fusion 에서 GNS3 VM 파일을 Import 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내요





5. Import 동작이 끝났군요. OS는 우분투에 기본 메모리는 2Gb로 할당 되었내요




6. MacBook의 성능이 조금 여유가 남아서 추가 설정을 합니다. [Processors & Memory]로 들어가서 CPU 와 Memory

   를 좀 늘려 주겠습니다.





7. Processors 는 2개 코어로 해주고, Memory는 8Gb로 할당 합니다.





8. 이제 VMware에서 GNS VM을 구동하여 봅니다.

구동이 완료 되면 위 화면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GNS3 VM도 구동 하였으니 다음에는 GNS3 에서 GNS3 VM 서버를 연동하여 보겠습니다.


Posted by 민스톨
,

GNS3를 macOS에 설치하는 방법


1. GNS3-2.0.1.dmg 파일을 열어서 GNS3를 응용 프로그램 폴더로 복사



2. GNS3 dmg 파일이 마운트 되어 새 창에 표시가 되면, 우측의 GNS3 아이콘을 클릭하여 좌측의 Applications 폴더로 

   Drag and Drop 하여 응용 프로그램 폴더에 복사 합니다.




3. Finder에서 응용 프로그램 폴더로 들어간 뒤 GNS3 아이콘을 우클릭 하여 열기를 누릅니다.



4. 확인되지 않은 개발자가 배포했습니다. 라는 메시지가 나오지만 열기 클릭하여 dmg 파을을 열어 봅니다.



5. GNS3 의 실행 화면과 Setup Wizard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상세 설정은 나중에 할 예정 이니 하단의 [Don't show this again] 체크 후 Cancel로 Setup Wizard를 종료 합니다.

위 사진과 같이 루트권한이 필요하다는 내용의 메시지가 나오면 Yes를 클릭 합니다.



6. GNS3를 실행 했을때 초기 화면을 확인 할 수 있으며, GNS3 VM을 설치 후에 GNS3를 추가 설정 할 것이므로 

    GNS3를 종료 합니다.


Posted by 민스톨
,

이전에 GNS3를 설치하려 했다가 다시 설치하는 경우


기존 설치된 GNS3의 정보를 삭제 후 재설치 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개인적으로....)


GNS3 삭제 방법


1. Finder의 응용 프로그램 으로 들어가서 GNS3의 삭제



2. 설정 파일이 저장된 폴더 삭제

Finder 실행 후 [Shift] + [command] + [.] 단축키 입력 (Finder에서 숨김 파일 및 폴더를 볼 수 있다)

삭제 폴더 경로 = Macintosh HD > 사용자 > [사용자ID] > .config > GNS3


참고용 으로 보시기 바랍니다.


이전에 GNS 2.0 beat를 설치 하였다가 GNS 1.5.3으로 내려올때 이 부분을 찾는다고 한참 찾던날이 생각나는군요.

Posted by 민스톨
,

GNS3의 대한 설명은 생략 합니다.


macOS 에서 GNS3를 구동하는 방법을 작성 할 예정이며, 그 첫번째로 gns3의 홈페이지에서 파일을 받습니다.


1. GNS3 홈페이지


https://www.gns3.com


Free Download를 누른 후 계정 생성 후 로그인 합니다.




2. MacBook 에 설치 할 것으므로 Mac Version을 Download 합니다. (2017.5.24기준 Ver2.0.1 이 최신)



3. GNS3의 서버를 VMWARE 를 사용하여 구동할 것으므로 GNS3 VM 파일도 Download 합니다.

본인은 VMware Fusion 에서 구동 할 것이기에 VMWARE WORKSTATION 버전을 Download 하였으나,

Virtualbox 혹은 VMware ESXi를 이용할 분은 해당 이미지 파일을 Download 받아 사용 하면 됨니다.



4. 설치 파일 확인

Macbook 의 다운로드 폴더에 2개의 파일을 모두 받았다면 GNS3 설치 준비는 끝났습니다.

GNS3-2.0.1.dmg : macOS에서 사용하는 설치파일 (dmg 파일은 macOS에서 사용하는 설치 패키지 파일)

GNS3 VM.ova : VMware Fusion 에서 mount 하여 사용할 GNS3 VM의 VMware 용 ova 이미지 파일


* 번외

본인이 GNS3 VM을 구동하기 위해 사용하는 VMware Fusion 은 상용 소프트 웨어 입니다.

추가적으로 구동 시 사용하는 VMware Fusion 의 Version 은 8.5.7 입니다.



사용 MacBook 정보




Posted by 민스톨
,

Get Plaint Text

macOS/APP 2016. 5. 2. 14:56


1. APP Name : Get Plain Text

2. Download : APP Store (MAC)

3. 금액 : 무료

4. 사용 용도

 * MAC 에서의 텍스트 복사( cmd + c ) 텍스트의 서식을 지우고 텍스트 내용만 클립보드에 복사해주는 툴

   텍스트만 복사 시 유용하게 사용


5. Screen Shot




'macOS > APP' 카테고리의 다른 글

macOS 에서 L2TP/IPSec VPN 접속 방법  (0) 2018.10.10
Tunnelblick [OpenVPN Tool]  (0) 2018.10.10
[APP] iTerm2  (0) 2017.05.29
Tftp Server  (0) 2016.05.02
Microsoft Remote Desktop  (0) 2016.05.02
Posted by 민스톨
,

Tftp Server

macOS/APP 2016. 5. 2. 14:47


1. APP Name : TftpServer

2. Download : http://ww2.unime.it/flr/tftpserver/

3. 금액 : 무료

4. 사용 용도

 * Network 장비의 image Update 시 사용하는 Tftp Server

 * Reveal 부분을 클릭하여 /private/tftpboot 폴더에 서버에 가동시킬 파일을 이동할 수 있다

   본인은 해당 경로를 수정하는것을 찾지 못하여(10분 찾아보다 포기....) 기본 경로로 사용중에 있습니다.

   해당 경로에 파일을 넣을 경우 PC의 password를 입력해야 함


5. Screen Shot





'macOS > APP' 카테고리의 다른 글

macOS 에서 L2TP/IPSec VPN 접속 방법  (0) 2018.10.10
Tunnelblick [OpenVPN Tool]  (0) 2018.10.10
[APP] iTerm2  (0) 2017.05.29
Get Plaint Text  (0) 2016.05.02
Microsoft Remote Desktop  (0) 2016.05.02
Posted by 민스톨
,



1. APP Name : Microsoft Remote Desktop

2. Download : APP Store (MAC)

3. 금액 : 무료

4. 사용 용도

 * Windows 의 원격 데스크톱과 같은 기능 [mstsc]

   MAC 에서 윈도우 계열의 PC를 원격으로 접속 할 경우 사용


5. Screen Shot






'macOS > APP' 카테고리의 다른 글

macOS 에서 L2TP/IPSec VPN 접속 방법  (0) 2018.10.10
Tunnelblick [OpenVPN Tool]  (0) 2018.10.10
[APP] iTerm2  (0) 2017.05.29
Get Plaint Text  (0) 2016.05.02
Tftp Server  (0) 2016.05.02
Posted by 민스톨
,